분류 전체보기 32

[부자리포트 5] ETF·채권·금 조합으로 수익률 10%? <5/5>– 불확실성 시대의 부자형 자산배분법

📌 1. 부자들은 ‘무조건 고수익’을 추구하지 않는다많은 사람들이 자산가의 투자를 떠올릴 때, 수익률 극대화 전략을 연상합니다. 하지만 2025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실제 부자들의 투자 기준은 다릅니다.5~10% 수익률을 기대한 부자: 50% 이상10% 이상 고수익 기대한 부자: 단 12%에 불과핵심은 “잃지 않는 투자”, 그리고 “예측 가능한 수익 흐름”결국 극단적 수익보다, 안정성과 통제가 가능한 구조를 선호하는 게 부자들의 진짜 전략입니다.📈 2. 예금만으론 부족하다, ‘조합’이 답이다안정성과 유동성을 모두 추구하는 부자들은 보통 다음 3가지 자산을 조합합니다: 채권 ETF: 미국 국채, 투자등급 회사채 등금: 실물 또는 금 관련 ETF지수추종 ETF: S&P500, 고배당 ETF, 글로벌 ..

[부자리포트 4] 가상자산은 끝났을까? 부자의 현실 전략 <4/5>– 분산·시점·비중 조절법 정리

📌 1. 부자들은 여전히 ‘가상자산’을 주시하고 있다2024년 한 해 동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가상자산 시장은 큰 폭의 반등을 보였습니다. 그 결과, 국내 자산가들 사이에서도 다시 한 번 ‘가상자산이 돌아왔다’는 기대감이 형성되었죠. 2025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11%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고, 특히 젊은 부자들 사이에서 복수 종목 보유와 정기적 매입 등 전략적 접근이 두드러졌습니다.📊 2. 수익률은 높지만, 전체 자산 비중은 낮다2024년 한 해 동안 가상자산 투자로 90% 이상의 수익을 본 부자도 있었지만, 그렇다고 이들이 가상자산에 자산의 절반 이상을 몰빵한 것은 아닙니다.대부분 전체 금융자산의 3~5% 이내를 할당10명 중 9명 이상이 가상자산을 ‘핵심 자산’이 아..

[부자리포트 3] 영리치는 미국 ETF에 집중한다 <3/5> – 젊은 부자의 글로벌 포트폴리오 분석

📌 1. 영리치, 그들은 누구인가?2025년 대한민국 자산 시장의 가장 뚜렷한 변화 중 하나는 바로 **‘영리치(Young Rich)’**의 등장이었습니다. 이들은 40대 이하 고자산가로, 전통적인 투자 방식보다 더 과감하고 유연한 전략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하나금융의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이들은 해외 자산 투자와 ETF 비중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그 해외 자산 중에서도 미국 ETF에 대한 선호가 특히 두드러집니다.📊 2. 영리치의 자산운용, 뭐가 다를까?2024년 기준 영리치들의 금융 포트폴리오는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해외 주식 비중: 22.2%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 그중 대부분이 미국시장 중심, 해외투자 시 ETF 활용 비중 증가 또한 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 ..

[부동산통계] 4월 2주차 수도권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서울·경기 부동산, 숨고르기인가 하락 전조인가? - 매매 상승 둔화, 전세 양극화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4월 2주(4월 1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은 매매 +0.08%, 전세 +0.02%로 소폭 상승, 경기도는 매매 -0.01%, 전세 +0.02%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가격 상승 흐름은 이어지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보합에 가까운 정체된 흐름이며, 입지·수급 조건에 따라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서울 매매: 재건축·브랜드 선호 단지 상승세 서울의 매매가격은 전주와 동일한 +0.08%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전반적인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지역이나 선호도 높은 강남권 지역 위주로만 상승세가 집중되는 모습입니다. 강남권 11개..

부동산통계 2025.04.18

[부자리포트 2] ETF vs. 개별종목, 부자의 선택은? <2/5> – 수익률과 안정성으로 본 2025 투자전략

📌 1. 부자는 ETF와 개별종목 중 무엇을 더 선호할까?2025년 현재, 부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눈에 띄는 변화는 ETF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금융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약 38%가 ETF를 보유 중이며 이는 2년 연속 상승한 수치입니다. 반면 개별종목에 대한 직접투자는 13%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ETF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시장 전반에 대한 분산투자를 가능케 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2. 직접투자와 간접투자의 수익률은 어떻게 다를까?2024년 금융투자 수익률 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부자의 75%가 플러스 수익, 그 중 10% 이상 수익을 거둔 비율은 12%에 달했습니다. ETF는 수익률 기여 자산 순위에서 4위를 기록했습니다. 1위..

[부자리포트 1] 2025년 부자는 어디에 투자하나?<1/5> – 웰스 리포트로 본 최신 자산운용 트렌드

📌 1. 부자는 지금 어떤 자산에 투자하고 있을까?2025년 현재, 한국의 부자들은 어디에 투자하고 있을까요? 하나금융그룹이 발간한 ‘2025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상위 자산가들은 수익률보다 안정성을 더 중시하는 투자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고물가,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불확실한 글로벌 경제 상황과 국내 정치적 리스크가 투자 환경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조사에 따르면 실물 경기 전망을 '악화'로 본 부자들의 비중은 무려 75%, 부동산 경기에 대해서도 64%가 부정적으로 응답했습니다. 이런 인식은 자연스럽게 자산 구성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고, 리밸런싱보다는 포트폴리오 유지를 선택하는 방향으로 나타났습니다. 📊 2. 예금부터 ETF까지, 2025년 포트폴리오의 중심20..

[청약정보] 전국 누구나 청약 가능! 세종 파밀리에 더 파크 잔여세대 입주자 모집공고, 단 4세대 기회!

“세종시가 아니라도 청약할 수 있다고?”이번 ‘세종 안단테’ 공공분양은 세종시 거주자 우선 없음, 전국 무주택자 누구나 청약 가능한 매물입니다.분양가도 59타입은 2억8500만원~2억8800만원, 84타입은 4억7900만원으로 책정돼, 수도권 실수요자나 청년층 무주택자에게도 도전해볼만한 가격대에요. 1. 공급 개요 및 단지 정보■ 단지개요위치: 세종특별자치시 산울2로 40 (산울마을5단지, 세종 파밀리에 더 파크)규모: 총 995세대, 지하2층~지상29층, 총 14개동전용면적(해당세대 수): 전용 59㎡(730세대), 74㎡(136세대), 84㎡(129세대)최초입주: 2023년 12월(3년차)최분양가: 2억4322만원 ~ 4억3748만원세종 파밀리에더파크는 공공분양으로 공급되었던 아파트이며, 이번 잔여..

집값 잡을 수 있을까? 정부의 4월 11일 발표, 정말 적절했나?

2025년 4월 11일, 정부가 다시 한번 부동산 시장을 정조준했습니다.불과 3주 전(3월 19일) 강남·용산을 중심으로 급등하던 집값을 진정시키기 위해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에 이은 후속 점검 TF 회의 결과인데요.이번 발표를 통해 정부는 "집값 상승폭은 둔화되고 있으며, 필요 시 추가 규제도 불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하지만 시장 반응은 미묘합니다. 과연 지금의 시장이 '투기 과열'일까요, 아니면 '서울 쏠림' 현상일까요?이번 포스트에서는 4월 11일 발표 내용 요약부터 정책 효과 분석, 그리고 서울 쏠림 관점에서의 평가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1. 발표 요약: 정부는 지금 시장을 어떻게 보고 있나?서울·강남 집값 상승폭 둔화: 3월 대비 상승률 축소강남3구 아파트 변동률: +0.53%(3.1주..

미국채 금리 급등! 경기둔화 전망 속에서 SPLG·QQQM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2025년 4월, 시장에는 낯선 조합이 등장했습니다.장기 금리는 빠르게 오르는데, 정작 경기는 둔화 우려가 심화되는 시그널이 곳곳에서 관측되고 있습니다.이런 상황을 우리는 “Bear Steepening + Growth Down”,즉 수익률 곡선의 가팔라짐과 경제 둔화가 함께 나타나는 국면이라고 부릅니다.그렇다면 많은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SPLG(S&P 500 ETF)와 QQQM(나스닥 ETF)는 지금 어떤 포지션을 취해야 할까요?Bear Steepening(베어스티프닝)이란? 수익률 곡선이 가팔라지면서, 특히 장기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는 현상주로 인플레이션 우려, 경기 과열 기대, 중앙은행 긴축 예상 등이 원인입니다. 💡 최근 미국 10년물·30년물 국채 금리 급등 → Bear Steepening..

서울·수도권 아파트 상승세 유지… 2025년 4월 1주 가격 동향 (4.7 기준, 4.10 발표)

서울은 2주 연속 상승, 상승폭은 축소. 경기도는 하락 전환.2025년 4월 1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2025년 4월 1주차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기준일: 4월 7일)’에 따르면,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하락,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기록했습니다.수도권은 전체적으로 상승폭이 둔화되거나 하락 전환되었으며,서울은 상승을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0.11% → +0.08%로 축소됐습니다. 서울인접 경기도는 하락중이지만, 서울은 하락하던 도봉, 노원, 강북구까지 온기가 퍼져나간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 동향 (매매·전세)매매: 강남·마포·성동 중심 상승, 상승폭은 축소강남권 평균 +0.11%강남구(+0.20%): 압구정·개포동 재건축 단지 중심송파구(+0.16%): 방이·신천..

부동산통계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