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통계

[부동산통계] 3월 5주차 수도권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부다 2025. 4. 4. 07:00

🏠 서울·경기 부동산 다시 눈치싸움 시작?, "정체 속 양극화 뚜렷"

2025년 3월 31일 기준, 주간 부동산 시장 분석


3월 5주차 가격동향의 키워드인 교통, 학군, 재건축을 표현하는 이미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3월 5주(3월 31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은 매매 +0.11%, 전세 +0.05% 상승, 경기도는 매매 0.00%, 전세 +0.03%로 보합세를 기록했습니다.

전반적으로 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으나, 입지별 양극화가 점점 뚜렷해지는 분위기입니다.

 

아래 표는 지역명/매매가변동률/전세가변동률 순 

2025년 3월 31일 발표된 한국부동산원 주간아파트가격동향(주간변동률) 히트맵 이미지




🏙 서울 매매: 재건축·강남권 위주 상승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1% 상승하며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세부 지역을 보면 재건축 추진 단지와 강남권을 중심으로 상승, 비선호 지역은 하락 또는 정체되는 모습입니다.

 

  • 강남 11개구 평균: +0.15%
    • 송파구: +0.28% (잠실·신천동 위주)
    • 강남구: +0.21% (개포·압구정 재건축 단지 중심)
    • 서초구: +0.16%, 영등포구: +0.16%, 양천구: +0.20%
  • 강북 14개구 평균: +0.06%
    • 성동구: +0.30%, 용산구: +0.20%, 마포구: +0.18% 등 일부 지역 상승
    • 그러나 도봉구(-0.03%), 노원구(-0.02%) 등 외곽 지역은 하락

👉 상승 요인: 재건축 기대감, 학군 수요, 강남권 브랜드 아파트 선호
👉 하락 요인: 거래량 감소, 대출 부담


🏘 경기 매매: 보합세 속 지역별 온도차 커져

경기도는 보합세를 기록하며, 시장의 눈치보기 장세가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은 뚜렷한 상승, 반면 다수 외곽 지역은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 상승 지역 
    • 과천시: +0.39% (별양동·원문동 위주)
    • 성남 수정구: +0.27%, 분당구: +0.24%
    • 용인 수지구: +0.12%
    • 안양 동안구: +0.08%
  • 하락 지역
    • 안성시: -0.19%, 김포시: -0.18%
    • 고양 일산동구: -0.17%, 광명시: -0.12%

👉 경기 외곽은 금리 부담과 매수 관망세로 수요 약화
👉 강남 접근성이 좋은 과천·분당, 성남 수정구는 실수요 견고. 용인 수지와 안양 동안구(평촌)도 상승세가 올라오는 중


💧 서울·경기 전세: 상승세 유지, 폭은 축소

서울 전세가격은 +0.05%, 경기도는 +0.03% 상승했습니다.
다만 매매 전환으로 이어질 만큼의 강한 상승은 아니며, 전세가 상승세도 점차 둔화되는 추세입니다.

  • 서울 강남권
    • 송파구: +0.15%, 강동구: +0.16%, 영등포구: +0.10%, 동작구: +0.10%
    • 서초구는 -0.01% 하락, 매물 증가 영향
  • 서울 강북권
    • 마포구: +0.06%, 용산구: +0.06%, 도봉구: +0.04%
    • 성북구(-0.04%), 강북구(-0.02%)는 하락 전환
  • 경기도 전세 주요 흐름
    • 과천시: +0.27%, 안양 동안구: +0.22%, 분당구: +0.20%
    • 광명시(-0.20%), 이천시(-0.11%) 등 공급 물량 많은 지역은 하락

📌 지역 선별이 시장 대응의 핵심

서울과 경기도는 전체적으로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으면서도, 재건축·교통호재·정주여건이 우수한 지역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외곽·공급과잉 지역은 하락하거나 보합에 머무르며, 시장 내부에서 양극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의 관건은,

  • 전세가율 추이
  • 규제지역 확대 여부
  • 대출 규제 및 금리 정책 방향성
  • 거래량 회복 여부

2025년 상반기 내 이 세 가지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하반기 시장 반등 가능성이 달라질 것입니다.